최악의 뇌암으로 꼽히는 교모세포종을 타인의 면역세포 주입 방식으로 치료할 가능성이 동물실험을 통해 제시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추출한 ‘감마델타 T세포’를 생쥐의 교모세포종 부위에 직접 주입한 결과 종양 크기가 줄고 생존이 연장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흔한 악성 뇌종양인 신경교종 중 대표적인 유형으로, 수술과 항암 방사선 등의 표준치료를 모두 받더라도 평균 생존율이 2년이 채 안 될 정도로 예후가 불량한 뇌암이다.

최근에는 이런 교모세포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면역 항암세포치료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중 전체 T세포의 5% 정도를 차지하는 감마델타 T세포는 다양한 방식으로 종양 억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 다른 T세포인 ‘알파베타 T세포’와 달리 면역거부반응이 적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아닌 공여자의 세포를 이용할 수 있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이번 동물실험에서 건강한 감마델타 T세포를 교모세포종 생쥐에 주입하자 다양한 리간드가 발현되고, 이 중 특정 리간드(DNAM-1)가 감마델타 T세포와 잘 결합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 리간드는 신호 전달을 목적으로 세포에 들어가는 단백질(수용체)과 결합하는 분자를 말한다. 이 리간드를 항암제에 붙이면 더 정밀하게 암을 공격할 수 있다.

안스데반 교수는 “감마델타 T세포가 DNAM-1 리간드와 잘 결합하는 특성을 이용해 항암제를 개발한다면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높은 치료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종양치료 및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OncoImmun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