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코로나19 검사·진단·진료·처방을 한 곳에서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는 필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지 않고 있었다고 밝혔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달 21∼29일 원스톱 진료기관 6천561개를 대상으로 현황 점검을 한 결과 90%인 5천909개가 호흡기환자 진료, 코로나19 진단검사, 먹는치료제 처방, 확진자 대면진료를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먹는치료제 처방, 대면진료 등 일부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기관에는 실제 수행하는 기능에 맞게 공개 정보를 변경하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원스톱진료기관을 1만개로 확대하는 방안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전날 기준으로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1만3천730개이고, 이 가운데 원스톱 진료기관은 9천906개로 집계됐다.

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등 호흡기 질환을 주로 진료하는 의원은 약 1만곳인데 50% 이상인 6천123곳이 원스톱 진료기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정부는 원스톱 진료기관 인근에 먹는치료제 담당 약국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의료진에게 먹는치료제 교육 영상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배포할 예정이다.

또 고위험군이 우선 검사·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사전 방문 예약을 하도록 하고, 이달 중 의료기관에 감염관리 매뉴얼을 제공할 계획이다.

원스톱 진료기관은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고령층에는 유전자증폭(PCR) 검사 후 지역의 원스톱 진료기관 명단이 적힌 안내문을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응급환자 24시간 이송·진료 체계를 유지하고, 야간과 휴일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의료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지정병상은 지난달 20일 대비 약 1천500개 많은 7천80개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주간 평균 확진자가 약 20만명 이상 발생해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30만 확진자에 대응하겠다고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4천여 병상이 추가로 필요하다.

코로나19 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일반병상도 지난 9일 기준 330개 병원에서 7천225개 운영 가능한 상황이며, 4천424명의 환자가 입원해 치료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지역별 의료협의체 운영도 강화하기로 했다.

대한의사협회가 지난달 27일 지자체와 지역 의료계의 협의체를 운영하자고 제안한 것을 반영한 조치다. 그 전부터 의료계는 요양시설 의료기동전담반, 재택치료 환자 모니터링 등 코로나19 대응에 정부와 협력하고 있었다.

협의체는 지역 여건에 맞게 구성하되, 지자체 보건 담당 실국장과 지역 의사회장 등이 참여하도록 한다. 협의체는 정기 또는 수시로 코로나19 대응 상황과 협조 요청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그동안 협력은 중앙정부와 전국 단위의 민간단체 주도로 이뤄져왔는데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려면 지역 단위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스톱진료기관·병상 운영 현황과 독거노인 등 사각지대 고위험 계층 관리, 먹는치료제 원활한 공급 등은 지역의 소통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위원장은 현재 광주 등 12개 시도에서 지역의료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지만, 서울·대전은 기초 수준에서도 운영되고 있지 않다면서 “협의체를 226개 시군구 단위까지 구성하는 방안도 고민해 달라”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