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치명률은 0.16%로,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0.8%)의 5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4일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9천8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렇게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중 사망자는 6명으로, 모두 ‘감염 취약층’으로 꼽히는 60대 이상이었다. 90대와 70대가 각 2명이고 80대와 60대가 각 1명이었다.

감염자 중 사망자는 0.06%이지만, 연령 분포 차이를 보정해 표준화한 치명률은 0.16%로 계산됐다.

이는 델타 변이 치명률(0.8%)의 5분의 1수준이다. 그동안 남아공과 캐나다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치명률이 델타 변이 감염자 치명률의 4분의 1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는데, 이보다 낮은 수준이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의 사망자수는 ‘역학적 관련자’까지 합하면 10명으로 늘어난다. 역학적 관련자란 오미크론 감염 사실이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역학조사 결과 감염이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이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 중 위중증 환자는 모두 11명(0.11%)으로 70대 5명, 80대 3명, 60대·40대·10세 미만 각 1명이었다.

방대본은 “국내와 해외 현황을 종합하면 중증도는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보다 낮지만, 인플루엔자(독감)보다는 다소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인해 고위험군 확진자가 증가하면 위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중증·사망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단기간 내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다면 사회적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력을 보면 2차접종을 마친 사람이 4천774명(48.4%)으로 가장 많았고 3차접종자도 1천254명(12.7%)이나 됐다.

3천624명(36.8%)은 미접종자(접종력 확인 불가 사례 포함)이고, 나머지 208명(2.1%)는 1차접종자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천358명(23.9%)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천900명(19.3%), 40대 1천674명(1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방대본은 이달 셋째 주(1.16∼22) 국내 확진자의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50.3%으로 증가하면서, 이 변이가 우세종이 됐다고 평가했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감염자가 처음 나온 지난달 첫째 주에는 0.2%였으나 이달 들어 매주 12.5%→26.7%→50.3%로 2배씩 증가하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 사례에서는 97.5%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다.

권역별 검출율을 보면 호남권이 82.3%로 가장 높았고 경북권이 69.6%, 강원권 59.1%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