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여름철 온열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로 30명 가까운 사망자가 나왔으며 온열질환 산재 10건 중 7건 이상이 건설업, 제조업, 공공 분야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22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까지 여름철(6∼8월) 온열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는 총 192건이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총 29명이다.

연도별로는 2016년 26건(이하 사망 2명), 2017년 27건(5명), 2018년 57건(11명), 2019년 33건(6명), 2020년 13건(2명), 작년 26건(3명), 올해 10건(0명)이다.

이 수치는 산재 승인 기준이기 때문에 올해 온열질환 산업재해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사고 발생 뒤 정부의 산재 승인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92건(이하 사망 20명)으로 가장 많고 제조업 26건(1명), 공공 분야 21건(0명), 시설관리·사업지원 서비스업 19건(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온열질환 산재에서 건설업과 제조업, 공공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73%에 달했다.

올여름 물류센터 냉방시설 부족 문제가 사회적 관심을 받았지만, 최근 7년간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온열질환 산재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분야 온열질환 산재는 경상남도청이나 수원시청, 대구 동구청 등 지방자치단체나 정부 주관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소규모일수록 온열질환 산재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 6년간 여름철 온열질환 산재 182건 중 81건(44.5%)은 상시 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 74건(40.7%)은 10인 이상 10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했다. 22건(12.1%)은 100인 이상 1천인 미만 사업장, 5건(2.7%)은 1천인 이상 사업장에서 일어났다.

이 의원은 “고용노동부는 건설, 제조, 공공분야에서 일어나는 온열질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자체적인 관리 역량이 부족한 소규모 사업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