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박 4일 간의 호주 방문을 마치고 15일 돌아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걸음이 무거워진 모습이다.

1조원 대의 방산 수출 실적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 긴장을 놓을 수 없는 탓이다.

특히나 단계적 일상회복을 멈추고 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귀해야 하는 상황은 문 대통령에게 뼈아픈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어렵게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을 되돌려 과거로 후퇴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한 바 있다.

신규 확진자나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가 늘더라도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이나 사적모임 인원 제한 같은 조치는 취할 수 없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러나 김부겸 국무총리는 1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현 방역상황을 매우 엄중히 보고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를 시행한다”며 사실상 일상회복 ‘멈춤’을 예고, ‘후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부모들의 반발에 따른 청소년 접종 혼란, 방역패스 ‘먹통’ 사태에 더해 이번 결정은 사실상 방역의 실책을 자인하는 것으로도 비칠 수 있는 대목이다.

청와대는 단계적 일상회복의 멈춤 역시 그동안 고려해 오던 시나리오였다며 진화에 나섰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연합뉴스TV에 출연해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할 때 엄중한 상황이 오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며 “그때그때 상황에 기민하게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방역당국이 ‘거리두기 강화’를 건의했으나 문 대통령이 강력히 반대했다는 일부 매체의 보도에 대해서도 박 수석은 “가짜뉴스”라고 일축했다.

호주 방문 기간 수시로 국내의 방역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진 문 대통령은 귀국과 함께 코로나19 확산세를 점검하고 관련 대책을 수립하는 데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내세웠던 K방역의 성과가 흔들린다면 임기 말 국정 동력의 급격한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다시금 강화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제 침체까지 맞물려 청와대로 향하는 책임론의 목소리도 커질 수밖에 없다.

박 수석은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의 희생을 보상하는 방법 등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청와대를 비판하는) 정치권의 말씀도 잘 듣고 있지만, 그에 앞서 손실보상 문제 등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